독후감/기타46 어디서살것인가3 2019. 8. 19. 이민을꿈꾸는너에게3 2019. 8. 19. 말해서는안되는너무잔혹한진실4 흥미롭다 2019. 8. 4. 평균의종말4 전체를 평균내서 파악하는 방식은 결국 개별에 대해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안맞기 때문에) 잘못된 접근이란다. 교육, 인사에서 개인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려야 한다. 개인의 특성간 상관관계는 매우 떨어진다. 1, 즉, 합쳐서 보지말고 개별로 보고나서 그걸 합치라는 얘기다. 100명이 있으면 평균내서 1개만 보면 되는데 100개를 보고 합쳐야 하니 비용이 더 많이 든다. 결론에 따른 영향이 크다면 시도할만할까. 2. 상대적인 포지션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 않은가. 개인에 대한 절대값으로 뭔가를 평가? 해석할 수 있나. 과거의 사고패러다임이라 그런가 3. 몇개의 지표로 학생이나 직원을 평가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데 KPI를 늘리는 것은 능사가 아니라는 것은 알지않나. 조직에는 중점을 .. 2019. 6. 12. 유태인아빠 아이를 가슴으로 키우는 51가지방법 2 2019. 6. 5. 1인기업실전편2 2019. 5. 8.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