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당은 주주에 대한 예의이다
배당에 대해서는)많은 얘기가 있지만 간단한 예로 정리해 보겠다
동네에서 빵집을 하는 친구가 장사가 잘된다며"나른"동네에 2호첨을'벌 생각 이니 친구들한테 돈을 투자하라고 한다 그 빵집은 다른 동네에서도 대박이 났고 투자한 친구들은 빵집에서 난 이익을 나 눠 달라고 요구한다. 그런데 빵집을 하는 친구는 3호점, 4호점을 낼 때 돈이 필요 하다는 핑계로 이익을 돌려주지 않는다. 그러면서 자기는 번 돈으로 비싼 외제차를 사고, 빌딩을 산다.
하지만 자사주를 직접 매입하지 않고 자사주펀드를 통해 간접 취득한 경우에는 공시된 수량 과 금액만큼 자사주 매입을 하지 않는 경 우도 많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예측 가능성과 매입 후 소각하지 않는 자사주 매입 현실을 고려하면 한국에서는 배당 이 자사주 취득보다 우위에 있다고 본다
주주환원이라는 것은 투자해 준 주주 에게 회사의 경영 결과물을 돌려주는 것 이다. 기업수명주기 이론에서는 기업수 명주기를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침체기, 쇠퇴기의 5단계로 나눈다. 보통 도입기, 성장기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자금이 부족하여 외부자금을 받을 수밖에 없는 반면, 성숙기의 기업들은 배당의 재원이 되는 잉여현금흐름이 좋아 주주에게 충 분히 뽈려물' 주5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성 장기에 있는 회사들이 배당을 하는 경우 에는 배당이 시작되는지, 배당이 연속성 을 갖고 있는지, 배당성향을 유지하려는 지가 중요하다.
보통 성장기의 회사들은 배당성향이 낮은 특징이 있다. 성숙기에 있는 회사들 쌓아 놓은 이익잉여금이 많고 이미투 자해 놓은 자산에서 꾸준히 현금흐름이
우리나라 기업들은 대외 여건이나 경기 사이클의 영향을 받는 업종에 많이 속 해 있는데 이러한 기업들도 배당수익률 을 통해서 매수시점을 고를 수 있다. 재 무구조가 우량하고 분기 실적이 부진한 경우에는 역사적으로 가장 높았던 배당 수익률을 참교해서 매수시점을 잡아 볼 수 있다. 기업이 꾸준히 배당금을 유지해 온 경우 특히 적중도가 높다. 배당의 변 동성은 이익의'변통성보다 낫고, 기업들 은 배당을 늘리는 것보다는 줄이는 것에 대해 더 부담스러워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배당을 줄이지 않으려고 하는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미팅을 마무리할 때 다음 질문들을 꼭 던진 최대주주가 몇 년생이신가요? 건강은 괜찮으신가요? 자제분은 어떤 일을 하시 나요? 경영수업을 받고 계신가요? 대주 주 지분 구조는 어떤가요?' 최대주주 가족에 대해 이런 것까지 물 어봐야 하나 싶지만 한국에서 주식 관련 한 일을 때 이것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다. 특히 다른 나라 대비 높 은 상속세는 역설적으로 대주주가 상속 세를 내지 않고 편법으로 지분을 상속시 키려는 노력을 강화시킨다. 앞서 언급한 인적분할 역사 같은맥락으로볼 수 있다.